LOVE WHAT YOU DO, DO WHAT YOU LOVE

[GALA] 갈라 노드 꺼짐 현상 왜? 본문

갈라게임즈

[GALA] 갈라 노드 꺼짐 현상 왜?

댄리 2022. 11. 6. 01:29

안녕하세요. 갈라인 여러분

 

올 11월까지 노드를 V3로 운용해야 한다는것을 들었을 거에요.

 

많은분들이 노드를 기존 사용하지 않는 똥컴으로 많이 돌리고 계셨을텐데요. 이젠 쉽지 않을것 같아요. ㅠㅠ 

 

저는 10월 20일부터 V3로 업그레이드를 했는데요. 그 이후로부터 아래 CPU 사용량이 2배 들어난게 보이시나요?

 

11월부터 스파이터탱크가 정식오픈을 하고서는 기존 V2 대비 3배 이상의 사용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CPU 사용량

 

네트워크 사용량을 보시죠. 마찬가지로 3배 이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도 급속히 늘었죠 

메모리 사용량

 

이게 의미하는 바가 무엇이냐.

 

우리 노드가 달라졌어요. 

사실 모두가 알죠. 몇년묵은 똥컴도 코인 채굴할 정도의 아무 의미없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하지만 노드 버전3를 릴리즈 하면서 이제부터는 정말 여러분들의 노드가 갈라 생태계를 지원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위의 CPU, 메모리, 네트워크 사용량이 증가한다는 의미는 그만큼 활발하게 노드가 사용이 되고 있다는 것이구요. 이말은 즉, 사람들이 자이리를 많이 이용한다는 뜻이고, 최근 스파이더탱크 출시의 긍정적 신호탄이라고 볼 수 있어요!

 

하지만!

더이상 여러분들의 똥컴에서 노드 프로그램을 운용하기가 힘들다는 뜻이기도 해요 ㅠㅠ

최근 갈라 디스코드에서 많은분들이 업그레이드 후 인터넷 서핑도 하기 힘들다. 컴퓨터가 버벅인다. 노드가 자꾸 꺼진다라고 하시는데요. 

네 당연합니다. 여러분들의 컴퓨터는 지금 혹사 당하고 있는거니까요.

 

 

현재 갈라노드 V3는 쿠버네티스를 이용해서 배포 및 운용되고 있습니다. 

어려운 개념 아니에요. 간략하게 짚고 넘어가죠.

여러분이 PC에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를 떠올려보세요. 특정 경로에 맞춰 설치를 해야 하거나, 내 컴퓨터에 필요한 옵션을 일일이 맞춰주느라 설치 과정에서 힘들었던 경험이 있을 텐데요. 컨테이너는 이러한 환경까지 모두 포함하여 독립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입니다. 컨테이너 환경을 묶어서 배포한 컨테이너 이미지라는 프로그램을 내려받아 구동하면 실행되기 때문에, 각종 설정 과정이 줄어 들어서 좀 더 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쿠버네티스 아키텍쳐

 

위의 사진 오른쪽의 WORKER NODE가 여러분들 각각이 운용하는 갈라노드라고 보시면 되는데요. 제 갈라노드나 여러분의 갈라노드나 똑같은 환경에서 분산 운용이 될 수 있게 하는게 쿠버네티스의 장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이 쿠버네티스는요. 노드가 제 역할을 못하는, 힘들어하는 상황에서는 해당 노드에 일을 안주고 죽여버리는(?) 능력이 있습니다. 몇몇분들이 경험하셨죠?  노드V3를 운용하는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수준이 받쳐주지 않는 다면 다시 노드를 돌린다 해도 계속 죽어버릴거에요.

 

"어? 나는 갈라게임즈가 말한 최소사양 CPU 2개, RAM 8GB, 하드웨어 50GB는 되는데 왜 꺼져?"

 

혹시 본인 컴퓨터 혹은 가상서버 운영체제가 윈도우 이신가요?

그렇다면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자체적으로 쓰이는 사용량에 의해 부하가 커집니다.

그리고 노드 운영과 동시에 다른일도 하고 계시다고요?

그럴수록 노드가 죽기 쉽겟죠. 

 

그리고 위의 사양은 이건 이전 V2일때 이구요. 앞으로 바뀔 확률이 높습니다.

 

하... 그렇다고 해서 비싼 컴을 사자니.. 노드는 컴 한대당 하나고.. 노드를 여러개 가지신 분들은 계산기 두드려보니 또 수지가 잘 안맞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추천드리는것이 VPS(Vitual Private Server), 즉 가상 서버를 운영하는것 입니다. 가상서버는 윈도우, 리눅스 모두 가능합니다. 하지만 윈도우가 2배 이상 비싸요.

 

그럼 여러분의 선택지는? 갈라가격이 높으면 별 상관이 없을테지만, 저희 한푼이라도 더 아껴야죠?

 

저 믿고 리눅스로 한번 가보죠.

 

다음 글에서 설명 드리겠습니다.